본문 바로가기
사회

레드필 레드필이론 레드필 뜻 레드필이란?

by moneyklng 2023. 6. 29.

레드필(Red Pill) 이론은 최근 몇 년 들어 인기가 계속해서 올라가고 있는 주제로, 현대사회에서의 남녀 간의 불편한 진실에 관한 이론입니다. 레드필 이론에 관하여 완벽하게 정의하기에는 사회적으로 조금은 어려운 주제이긴 합니다만, 레드필에 뜻과 기본적인 정의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빨간 약과 파란 약

    레드필의 유래

    레드필(Red Pill)은 주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성별 역학, 사회적 관습, 정치, 사회적 문제 등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 용어는 매우 인기가 많았던 영화 매트릭스에서 나온 빨간색 약을 선택하여 현실에 대해 깨닫게 된 주인공을 의미하는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레드필의 뜻과 배경

    현대사회에서 레드필이란 남녀 관계의 불편한 진실에 관해 다루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의 결혼과 연애 시장은 날이 갈수록 문제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들은 이미 여러 국가에서 몇 년 전부터 이야기되고 있었습니다. 레드필이 세상에 등장하고 우리나라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 배경으로는 설거지론, 퐁퐁남 등 개념의 등장에 있습니다.

     

    설거지론이란, 젊고 화려했던 여성들이 젊었을 시절에는 많은 남성을 만나보고 했던 반면, 30대가 지나 점차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신의 매력이 점점 떨어지게 되고, 결국에는 외모는 좋지 않지만 부와 능력이 있는 남성을 선택하여 결혼을 하게 되지만 여성은 진정으로 그 남성을 사랑하지는 않는다는 이론입니다.  

    젊고 아름다운 여성 예시

     

    현재의 연애 시장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이성을 만나기가 쉬운 구조로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남성들은 구애를, 여성들은 선택을 할 수 있는 구조라고 말합니다. 그렇기에 남녀 사이의 관계는 필연적으로 여성이 선택권을 가지는 갑을관계가 생길 수밖에 없고 남성은 여성을 차지하기 위해 데이트 비용을 부담하고 여성의 성격을 받아주고 맞춰주며 불쾌한 일도 참으면서 배려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레드필의 목적

    레드필 이론은 전통적인 성별 역할에 대해 질문을 제기하고, 개인의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는 입장을 취합니다. 주로 남성들이 이 이론을 통해 사회적인 기대와 정체성을 탐색하고 개인적인 선택과 독립적인 사고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남성이 사회를 살아감에 있어 무언가를 쟁취하고 이루고자 할 때, 이용할 수 있는 도구 혹은 마인드 셋이 바로 레드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만 들으면 이해하고 적용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은 ‘레드필’이라는 도구를 연애에 적용시켜 자신이 원하는 이상적인 여성을 얻기 위해 노력합니다. 

    레드필을 적용한 연애에 관하여 이야기하자면 남성은 여성의 외모를 우선으로 생각하고, 여성들은 남성의 능력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각자 외모와 능력을 가꾸고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합니다. 남성과 여성은 역사적으로 그래왔고 본능적으로 상대가 그러길 원하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레드필의 주된 목적은 남자들이 자신들이 현재 처한 현실에 대하여 깨닫고, 더 좋은 남성으로 발전해 갈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 주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이 말은 즉, 레드필을 오직 연애와 원하는 여성을 쟁취하기 위한 도구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것이고, 인간도 하나의 생물로서, 수컷은 최고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현재 사회의 분위기나 전통을 따라가는 것이 아닌 레드필을 적용하여 자기 자신을 가꾸고 능력을 키우고 한 집단의 우두머리 혹은 최고의 남성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레드필에 대한 생각과 의견

    그렇기에 이 이론은 해석과 사람들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고 현재 매우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이론이 너무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사상이라고 하며 여성 혐오로 해석을 하여 비판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보려고 노력해야 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https://tistory4.daumcdn.net/tistory/6422467/skin/images/jquery.toc.min.js